불빛이나 높은 건물들이 없는 곳에서 밤하늘을 바라보면 무수히 많은 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별들 중에는 서로 이어져서 동물이나 사람, 사물을 떠올리게 하는 별자리가 있습니다. 책이나 여러 매체에서 소개된 별자리 형태를 보면 별자리 주변으로 그림이 그려진 것을 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별자리에 얽힌 신화와 관련된 그림인데요. 지금부터 봄철 별자리 4가지와 함께 그와 관련된 이야기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계절마다 별자리가 다른 이유
별자리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기 전에 계절마다 관찰할 수 있는 별자리가 다른 이유에 대해 먼저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 각각 볼 수 있는 별자리에는 차이가 있는데요. 몇 가지만 이야기하자면 봄에는 처녀자리, 사자자리, 천칭자리 여름에는 독수리자리, 돌고래자리 가을에는 페가수스자리, 양자리 겨울에는 오리온자리, 황소자리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계절마다 관찰 가능한 별자리의 차이가 있는 이유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 때문입니다. 별자리들은 지구의 자전에 의해 일주운동을 하는데 그것으로 인해 동에서 서로 1시간에 약 15도 정도 이동하게 됩니다. 또한 공전에 의한 연주 운동으로 같은 시각이지만 하루가 지날 때마다 서쪽으로 약 1도씩 이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계절마다 보이는 별자리의 모습이 다른 것입니다.
봄철 별자리
1. 처녀자리
첫 번째 소개할 봄철 별자리는 처녀자리입니다. 8월 23일부터 9월 23일에 태어난 사람이 바로 처녀자리입니다. 처녀자리의 경우 대체적으로 별들이 밝지 않지만, 1 등성 별인 스피카를 가지고 있으며 스피카는 처녀자리의 모습을 봤을 때 손 위치에 있습니다. 스피카는 라틴어로 '곡물의 이삭'이라는 뜻인데요. 이 별이 보인다는 것은 파종의 시기가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으로 농사와 굉장히 밀접한 관계를 가집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데메테르의 딸인 페르세포네는 매우 아름다운 여인이었습니다. 그 모습에 반한 지하세계의 왕 하데스는 페르세포네를 납치해 아내로 삼았는데요. 딸을 납치당한 데메테르는 굉장한 슬픔에 빠졌고, 그로 인해 생물이 살 수 없을 만큼 대지는 황폐해졌습니다. 계속 이 모습을 지켜볼 수 없었던 제우스는 자신의 형인 하데스 설득하였고, 그 결과로 페르세포네는 일 년 중 반은 지상에서, 나머지 반은 지하에서 지내게 됩니다. 봄이 되면 동쪽 하늘에서 처녀자리를 볼 수 있는데요. 이는 지하에서 지상으로 올라오는 페르세포네를 의미합니다.
2. 사자자리
두 번째 소개할 봄철 별자리는 사자자리입니다. 7월 23일부터 8월 22일에 태어난 사람이 바로 사자자리입니다. 사자자리는 레굴루스라는 별을 가지고 있는데 이 별은 1 등성 별들 중 유일하게 황도(1년 동안 태양이 지나가는 길) 위에 있는 별입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12가지의 모험을 한 헤라클레스의 첫 번째 모험이 네메아 골짜기의 사자를 죽이는 것이었습니다. 이 사자는 굉장히 포악하여 네메아 사람들을 공포에 떨게 했었는데요. 활이나 칼, 방망이 등으로도 이길 수 없었던 사자와 뒤엉킨 사투 끝에 헤라클레스는 사자를 죽일 수 있었습니다. 사자자리는 헤라클레스의 용맹함을 기리기 위해 제우스가 만든 별자리입니다.
3. 목동자리
세 번째 소개할 봄철 별자리는 목동자리입니다. 목동자리에는 그리스어로 '곰을 지키는 사람'이라는 뜻의 아르크투르스라는 1 등성 별이 있습니다. 이 별은 태양의 지름보다 27배나 크고, 밝기도 100배나 더 밝은 별로 하늘의 별들 중 세 번째로 밝습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목동자리는 두 가지의 설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별자리의 인물이 쟁기를 발명한 아르카스라는 것이며 두 번째는 우라노스의 아들이자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아틀라스라는 것입니다. 먼저 아르카스의 경우 작은 곰자리로 유명합니다. 아르카스의 어머니를 미워했던 헤라는 그녀를 곰으로 만들었고, 어머니가 곰으로 변했는지 모르는 아르카스는 어머니에게 활을 겨냥했습니다. 그 모습을 본 제우스가 아르카스의 어머니 칼리스토를 큰 곰자리로 아르카스를 작은 곰 자리로 만들었습니다. 아틀라스는 제우스에게 영원히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형벌을 받았고, 결국 돌로 변한 거인 타이탄 족입니다.
4. 천칭자리
마지막으로 소개할 봄철 별자리는 천칭자리입니다. 9월 24일부터 10월 22일 사이에 태어난 사람이 가지는 별자리입니다. 천칭자리는 처녀자리와 전갈자리 사이에 있는 별자리로 정의의 저울 형태입니다. 이 저울대는 정의의 여신 아스트리이아가 가지고 다녔다는 신화가 있습니다. 저울대를 이용하여 인간의 선악을 재었고, 그 결과로 운명을 결정하였습니다. 정의와 공평을 위해 힘쓴 아스트리이아가를 위해 만든 별자리입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대기권 구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0) | 2020.09.04 |
---|---|
여름철에 볼 수 있는 4가지 별자리 이야기 (0) | 2020.09.02 |
명왕성이 행성이 아닌 이유, 태양계 내부의 8가지 행성들 (0) | 2020.08.31 |
일식에 관한 5가지의 이야기 (0) | 2020.08.28 |
오로라와 관련된 흥미로운 6가지 사실들 (0) | 2020.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