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식이란 낮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태양이 달에 의해 가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비슷하게 월식이라는 현상도 있는데요. 월식은 지구의 그림자 안으로 달이 들어오게 되는 것입니다. 일식의 경우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위치할 때 일어납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순간 태양 - 달 - 지구의 순서가 만들어집니다. 지구에서 태양을 바라볼 때 달이 태양 앞 쪽에 있기 때문에 달에 의해 태양의 가려지지 않은 일부분만 보이거나 완전히 보이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일식의 정의에 대해 설명해보았는데요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일식을 자주 볼 수 없는 이유
일식에 대해 잊어버릴 때쯤 한 번씩 뉴스나 인터넷에서 몇 년 만에 관측 가능하게 되는 일식 현상 또는 이번에 보면 몇 년 뒤 관측 가능한 일식 등의 글 들을 볼 수 있는데요. 이처럼 일식 현상을 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 이유는 1년 동안 태양이 지나가는 길인 황도와 백도(달의 공전 궤도면)가 완전히 똑같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위도가 높기 때문에 개기일식을 보기는 거의 힘들고, 그나마 부분일식 정도 볼 수 있습니다.
일식의 종류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더라도 달이 지구와 얼마나 떨어져 있느냐에 따라 태양을 가리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즉 태양, 달, 지구가 완전한 일직선 상에 있더라도 태양이 전부 다 가려질 수도 있고, 가장자리 부분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
개기일식 : 개기일식은 달에 의해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부분일식 : 부분일식은 달에 의해 태양이 일부분만 가려지는 현상입니다.
금환일식 : 금환일식은 달이 태양과 겹쳐졌으나 거리에 의해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지 않아 고리 모양으로 보이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하이브리드 일식이라고 해서 해의 각 크기에 비해 달의 각 크기가 미세하게 작아서 지역에 따라 금환일식 또는 개기일식으로 보이는 현상이 있습니다.
한반도에서의 일식 현상
과거 한반도에서 일어났던 개기, 부분일식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얼마 전 6월에도 부분일식 현상을 볼 수 있었는데요. 부분일식은 개기일식에 비해서는 자주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한반도 내에서의 개기일식은 1887년 8월 19일에 함경북도 최북단에서 보였고, 1852년 12월 11일 남한 영토 내에서 보였던 마지막 개기일식이 있었습니다. 1948년에 일어났던 금환일식은 최대식분이 99.99%로 개기일식과 비슷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반도에서 나타날 미래의 일식
1. 2035년 9월 2일 개기일식
2035년에 개기일식을 관측할 수 있는데요. 강원도 고성군에서도 관측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아쉽게도 북한 쪽에서의 관측이 더 쉽다고 합니다.
2. 2095년 11월 27일 금환일식
호남 및 제주도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며, 오전 8시 15분부터 23분까지 관측이 가능합니다.
일식이 일어나는 지역과 시간을 알려주는 eclipse-maps라는 이름의 사이트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일식 현상뿐 아니라 전 세계의 일식 관련 정보를 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개기일식이나 금환일식의 경우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에 일식 관측을 버킷리스트로 담아두신 분들은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관측 시 주의해야 할 부분
일식을 관측할 때 맨 눈이나 선글라스로 직접 해를 쳐다보게 되면 태양의 빛 세기가 너무 강하기 때문에 눈에 손상이 올 수 있습니다. 우리의 눈은 주변이 어두울 경우 동공이 더 커지게 되는데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가시광선이 줄어들게 되어 확대된 동공에 더 많은 태양 빛이 들어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전하게 관측하기 위해서는 태양 필터가 장착된 망원경, 카메라, 특수 안경 등을 사용하되 너무 긴 시간이 아닌 3분 이내로 관측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셀로판지를 사용해서 일식을 보려면 여러 장 겹쳐서 짧은 시간 내에 관측을 완료해야 합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일식의 간단한 정의와 원리, 종류 등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끔가다 나타나는 현상인만큼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질텐데요. 실제로 일식을 관측하다가 눈에 화상을 입은 사람도 있는 만큼 조심해야 할 부분을 참고하여 안전하게 관측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의 대기권 구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0) | 2020.09.04 |
---|---|
여름철에 볼 수 있는 4가지 별자리 이야기 (0) | 2020.09.02 |
명왕성이 행성이 아닌 이유, 태양계 내부의 8가지 행성들 (0) | 2020.08.31 |
봄철에 볼 수 있는 4가지 별자리의 신화 (0) | 2020.08.26 |
오로라와 관련된 흥미로운 6가지 사실들 (0) | 2020.08.25 |
댓글